
그런 기도 방식이 오늘날 교계에서 광범위하게 재생되고 있다.
과연 크리스천들이 관상기도로 '계몽'될까? 아니면 동양 신비주의로 빠지게 될까?
"관상기도란, 가장 단순한 형태로 볼 때, 당신의 생각을..잠잠하게 하는 기도다. 이것은 하느님의 현존을 의식하는 더 나은 상태로 넣어 준다. 그리고 당신을 교정하고 이끌고 지시하는 하느님의 음성을 더 잘 들을 수 있게 해 준다."
과연 이 정의에 따른 관상기도가 영혼의 웰빙에 혜택이 될 성 싶은가?
그렇다면 더 명확한 이해를 제공하는 다음 설명을 감안해 보라.
"관상기도 수행자들은 마음을 잠재우는 하나의 내적 상징에 초점을 맞추도록 훈련을 받는다. 수행자들이 이 명상 방식에 숙달되면 자동최면과 비슷한 깊은 트랜스(trans: 꿈결, 비몽사몽, 기뻐 어쩔 줄 모름, 황홀감, 망연자실, 인사불성, 최면상태 등. 역자 주)로 들어 가게 된다."
관상기도는 약17세기가 지난 현대에 온 세상에서 광대한 컴뱈을 하고 있다. 3세기에 광야/사막 수도원에서 금욕생활과 기도를 하던 은수사(hermits/隱修士)들에 의해 처음 발견된 이 방법을 이제는 수많은 복음주의 교회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뉴에이지 전문가이자 기독교 변증가인 브라이언 플린은 이 테크닠이 어디서 왔으며 어떻게 오늘날 폭넓게 받아 들여지고 있는지 흥미로운 배경을 제공하고 있다.
"광야교부들은 아마도 멀리 동양 인사들과 접촉을 했든지 어쩌다 우연히 발견하게 됐을 것이다. 기원이야 어떻든 간에 이 이단적/이교적(heretical) 관행은 우리 교회에서 아무런 저항도 받지 않고 있다.

중세 카톨릭 교회에서 크게 유행한 수도원제도의 첫 형태는 광야 은수사들에 의해 시작됐다. 첫 은수사는 에집트 수사 안토니(St. Anthony). 그는 서기 270년 사회로부터 떠나 광야에 들어갔다고 알려진다. 그후 다수가 그의 생활방식을 따라 은수사가 됐다. 약80년 뒤 첫 수도원이 세워졌다. 수도원은 따로 흩어져 지내던 개인 은수사들을 한데 모으는 역할을 했다.
성경은 해 아래서는 그 무엇도 새로울 것이 없다고 말해 준다. 더욱이 과거로 돌아가 효과적인 "기독교적 경험"을 되찾아 현재에 다시 소개할 필요가 있다는 이런 식의 아이디어는 지금 '떠오름교회'(Emerging Church)의 중심 주제가 돼 있다.
캐나다 서스캐츠원에 있는 브라이어크레스트성서대학이 발행한 한 매거진을 보면:
"'떠오름' 영성권 사람들에게 영적인 의미성을 갖는 듯 보이는 고대의 행습은 흔히..3세기 역사나 또는 중세의 예배 연극에서 발견된다."
오늘날 많은 교계 지도자들이, 현 세대를 예수님께로 이끌려면 그들의 신앙을 도와 줄 자극적인 체험을 제공해야 한다고들 말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느끼듯, 이런 체험들은 성경 바깥의 것이며 동양에서 와서 수사들에게 영감을 준 것이지 영감된 말씀에서 온 게 아니다.
성경은 말세의 이런 영적 유혹들을 경고하고 있다. 피해자가 되지 마라!
< 필자: 라저 오클랜드 ('현대를 이해하라'에서) >
관상영성에 관한 추가 자료들은 티엘티 카테고리의 '분별과 검증'항, 관상영성 난에서 읽으실 수 있습니다.
'분별과 검증 > 관상영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상기도를 즐기는 님들에게 (102) | 2009.03.24 |
---|---|
창조주 아닌 거짓 신들 (12) | 2008.06.07 |
성경과다치중? 모얼랜드의 관상영성 (0) | 2008.01.24 |
'오늘의 양식' RBC, 관상영성 연계돼 (16) | 2008.01.09 |
관상기도 – 진짜 기도인가? (17) | 2008.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