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의 나리꽃
김삼
찬송가를 보면, '샤론의 꽃 예수', '내 진정 사모하는 친구..' 등의 곡 가사에서 예수님이 장미나 백합으로 비유되는 예를 발견한다. 신/구교의 수많은 성가곡에서 그런 가사들이 흔히 눈에 띈다. 한 부흥성가에도 "가시밭에 백합화 예수 향기 날린다"라는 가사가 포함돼 있다.
이런 가사 표현들은 다음 성경 구절의 앞 부분을 인용 또는 원용한 것이다.
가시덤불 속 한 송이 나리꽃 같아라, 아가씨들 가운데 내 사랑은!
숲 속의 사과나무 같아라, 젊은이들 가운데 내 사랑하는 님은!
그의 그늘 속이 너무나 즐거워 내가 앉았고, 그의 열매는 내 혀에 달콤하였네.
- 노래들의노래(=구약 아가) 2'1-3에서 (사역)
슐로모(솔로몬)의 노래들의노래(이하 '노래') 2장에 있는 위의 1,2 두 구절은 신/구교에서 전통적으로 예수 크리스토(그리스도)님의 '은유' 내지 상징으로 사용돼 왔다.
또한 대부분의 성경주석가들이 그렇게들 해석하고 있다. 존 웨즐리, 찰즈 스펄전 같은 설교가들도 아무런 의혹이나 검토 없이 이 꽃을 곧이곧대로 예수님께 비견하고 있다.
반면, 모든 유대계 학자들이나 다수의 신교 성경학자들은 이 구절을 남성, 더 나아가 메시아에 적용하지 않는다! 유대인 학자들의 경우, 단지 예수 크리스토를 메시아로 보지 않아서가 아니다. 문맥상 그럴 수가 없기 때문이다!
독자 자신이 성경을 깊이 음미/묵상해 보면, 이런 은유가 매우 부적절하며, 억지스럽고, 심지어 비성경적인 은유임을 발견하고 놀라게 될 것이다.
화자(話者)의 성(gender) 도치
우선 원문 텍스트 상으로 해당 은유의 부적절성을 지적해 본다.
남성연인(목동/슐로모?): 가시덤불 속 한 송이 나리꽃 같아라, 아가씨들 가운데 내 사랑은! (2절)
위 두 구절을 보면, 이 꽃 은유가 첫 화자 자신이나 상대역인 남성 연인에 의해 모두 여성인 슐람밑(=술람미 여인)에게 적용됐다. 이 꽃 은유가 당초 여성적이라는 말이 된다.
세 상황의 꽃들, 즉 1. 샤론의 들꽃(히브리어 '하바첼렡'. 장미보다는 크로커스에 더 가까움), 2. 골짜기 아래의 나리꽃('쇼브샨나' 곧 수선화/백합), 3. (2절의) 가시덤불 속 나리꽃이 모두 한 여성인 슐람밑을 가리키고 있음이 너무나 명백하다.
특히 2절 가시덤불 속 나리꽃은 "..아가씨들 가운데 내 사랑은"이라고 보어를 그려, 더더구나 이 꽃이 여성적임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자.. 1절 화자는 2절 화자의 예찬에 응하여(화답/답례의 형태로) 이어진 3절에서 상대인 남성을 '사과나무'로 은유하여 기리고 있다.
그러니까..
제2화자: 너는 나리꽃! (2절)
제1화자: 그대는 사과나무! (3절)
..라는 대화로 진행된 것이다.
은유에서 남/여 성(gender)의 의미성은 퍽 강하다.
꽃은 으레 여성으로, 여성은 흔히 꽃으로 은유된다. 그래서 요즘의 '꽃미남'이라는 시쳇말은 현대 남성의 '여성화 현상'을 연상시킨다. 물론 남성이 꽃으로 전혀 비유될 수 없다는 말은 아니다. 꽃은 중성적으로도 쓰인다. 예컨대 무궁화 등 다양한 꽃들이 나라와 정부 등의 문장 문양으로 쓰인다. 그러나 여기서는 어디까지나 여성에 비유됐다.
우리는 사람으로서는 남성이셨던 예수님이 여성으로 묘사되는 것을 상상하기 어렵다. 신약에서 예수님은 언제나 남성적인 이미지와 뉘앙스로 나타난다. 그런데 유독, 꽃으로 비유된 이 은유/상징은 여성성이 무리하게 예수님께 적용된 경우다. 어울리지 않는다. 좀체 걸맞지 않다.
대조적으로 위 본문에서는, 텍스트 내용상으로도 이 세 상황의 꽃들이 모두 남성(목동? 슐로모?)이 아니라 여성인 슐람밑에게 은유/적용됐다. 그만큼 꽃의 여성성이 강하다는 암시다.
잘못 낀 첫 단추
만약 굳이 남성인 예수님에게 식물의 은유를 적용하렸더면, 본문상(3절)으로도 명백히 남성에게 적용된 사과나무로 은유됐어야 자연스럽고 마땅할 터이다.
그런데 왜 사과나무가 아니고 하필/굳이 들꽃과 나리꽃인가? 여기서 초기 교부들인 성서주석가들이 초장에 단추를 잘못 끼웠음이 명백해진다. 도대체 왜 초기 주석가들은 이런 무리수를 두었을까?
가장 권위 있는 구약 주석인 독일 카일-델리취 주석에서, 델리취는 이 부분을 전혀 크리스토께 적용하는 따위의 말을 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주석학자 대다수가 주장하듯, 어느 모로 보나 매우 선정적인 이 '노래'가 설령 크리스토와 교회 사이의 사랑과 연합을 풍유한다고 하더라도, 문법적으로나 시적으로나 논리적으로나 철학적으로도 이 여성적인 은유는 남성적인 크리스토님께 어울리지 않는다.
우리가 구태여 슐로모를 메시아/크리스토의 프로토타잎(선형/先型)으로 설정하려면,
사과나무=크리스토님
샤론들꽃/백합=크리스토님
이것은 역(逆)이다!
그래서 첫 단추가 잘못 끼어졌다는 말이다.
바람직한 은유 방향
더욱이 예수님은 당신 자신을 꽃으로 비유하신 적이 전혀 없으며, 오히려 요한복음 15장에서 포도나무로 비유하고 계신다. 그러므로 구태여 '노래'에서 식물을 크리스토님께 비유한다면, 어느 모로든 3절의 사과나무가 훨씬 더 어울리며 더 적절한 것이다!
이렇건대, 여기서 이 들꽃과 백합이 구태여 신약적으로 누구에겐가 은유로 적용돼야 한다면, 다름 아닌 교회여야 한다. 아닌 게 아니라 하나님은 호세아서 14'5에서..
그는 나리꽃(백합) 같이 피어나며
레바논 삼나무처럼 뿌리 내리리."
라고 하셨다. 예호봐(여호와) 하나님께서 직접 곧 교회의 그림자인 이스라엘을 나리꽃/백합으로 직유하셨다는 말이다. 예수 크리스토가 아니고.
카톨맄교에서는 장미나 백합 등의 꽃을 마리아에 비유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더더구나 이 꽃이 크리스토님께 적용될 수 없다! 여성인 마리아의 상징이 동시에 남성인 크리스토의 상징일 수가 없기 때문이다. 만약 그럴 수 있다고 주장한다면, 뭔가 자기혼동/혼란에 빠진 것이다. 그런 성경해석은 정석이 아니다.
잘못된 구약 해석: "싹=꽃봉오리"?
그렇다면 왜 이런 무리한 은유 전통이 오래 지속돼 왔을까? 왜 초기주석가들, 교부들은 이 부분을 크리스토님께 구태여 적용하려 했을까.
그 한 가지 원인으로서, 일부 초기 주석을 보면, 메시아닠 성구의 하나인 예샤야후(이사야) 11'1의 한 싹/순을 하나의 '꽃봉오리'로 해석한 데서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러나 대다수 역본들이 '싹'으로 했지, 꽃봉오리로 하지 않았다.
그러니까 이 주석가들은 예11'1을 '노래' 2'1,2과 무리하게 연계시키려 한 모양이다. 메시아 아기 탄생을 장미의 개화로 묘사한 천주교/성공회 계열 크리스머스 캐럴이 많은 이유가 그것이다. 그것도 한 겨울에 피어난 장미꽃 어쩌고 하면서 무리수에 더욱 무리를 더 해 가며.
주석가들은 예11'1의 잘못된 나름 사역(자역)에 잘못 착안하여 사과나무가 아닌 꽃에 무리하게 메시아를 대입하였다.
문제는 더 나아가 마르틴 루터나 감리교 창설자 웨즐리 등 신교 주석가들도 아무런 생각 없이 이런 구교회의 성경 해석 전통을 그냥 받아 들일 뿐더러 오히려 한 수 더 뜨고 있는 모습들이란 역사적 사실.
모든 진리를 낱낱이 중시하는 민감한 성경의 입장을 생각하지 않고, 다만 아름다운 게 아름답고 좋은 게 좋다는 식이다.
맺음
결론적으로 말한다면, 성경은 '노래' 2'1,2의 샤론의 들꽃('장미'), 골짜기들의 나리꽃(백합)들, 가시덤불 속 나리꽃을 예수 크리스토로 은유하는 것을 어느 곳에서도 전혀 지지해 주지 않는다.
유대 주석가들 모두는 이것을 메시아나 남성이 아니라, 순전히 여성 슐람미 여인의 상징으로 본다.
오직 신/구교의 생각 없는 주석가/해석가들만 남성인 예수 크리스토의 상징으로 본다는 점에서, 모순이며 비성경적이다. 더욱이 구교는 같은 종류의 꽃들을 마리아의 상징으로도 본다는 점에서 곱빼기 식 자체모순을 저지르고 있고, 신교는 다만 구교 전통을 따르고만 있다.
필자의 결론은, 구태여 '노래'들 2'1,2의 내용을 신약에 꼭 적용하려 들겠다면..
여기서의 샤론 들꽃, 나리꽃들은 오히려 여성인 교회의 은유여야 하며..
남성, 곧 크리스토의 이미지는 오히려 2'3의 사과나무에 더 걸맞다는 것이다.
그것이 성경책의 이 부분의 본문이 말해 주는 진리다.
그리고 전통이 곧 진리는 아니다.
'성경묵상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시아 가계보의 이방여인들 (5) | 2019.04.30 |
---|---|
에놐의 심판주 메시아 예언 (메시아예언묵상 3) (2) | 2010.12.26 |
아벨의 예표적 행동(메시아 예언 묵상 2) (5) | 2010.12.24 |
구약에 나타난 메시아 예언 묵상 1 (7) | 2010.12.16 |
아들을 영광스럽게 (예수님의 기도 묵상1) (5) | 2010.12.06 |